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버스 공공 와이파이(Wi-Fi), 직접 사용해본 후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버스 공공 와이파이(Public Wi-Fi)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버스 공공 와이파이가 뭐야?
옛날에는 각종 통신사 공유기가 버스 내에 설치되어 와이파이를 즐길 수 있었습니다. 마치 지하철과 같이요. 그런데 각 버스당 하나의 통신사 공유기바께에 없었기 때문에 자신의 통신사와 동일한 와이파이가 아니라면 돈을 내고 이용하거나 이용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지난 5월 1일 과학기술정보부가 버스 공공 와이파이를 공식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래서, 이용할 수 있는 버스는?
이번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 설치는 전국 16개 지방자치단체 버스에 적용하였습니다.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강원, 충북, 충남,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이 지역 버스가 모두 되는것은 아닙니다. 이 지역 버스들 중에 노란 스티커가 붙어있는 버스만 공공 와이파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지역별로 약 270대의 버스에 공유기가 설치되었다고 하네요.
와이파이 설정방법
노란스티커가 있는 버스에 타면 다음 SSID를 가진 와이파이가 나타났니다.
'PublicWifi@BUS_Free_(버스번호)' 또는 'PublicWifi@BUS_Secure_(버스번호)'
편하게 인터넷을 이용하고 싶으시면 전자 와이파이를, 보안을 좀더 원하시는 분들은 후자 와이파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와이파이를 연결하면 '네트워크에 로그인하세요'라는 문구가 뜰 것입니다. 그럼 그 문구를 탭하시고 로그인 페이지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로그인을 하라하니 ID와 Password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이번 버스 공공 와이파이는 별도의 ID와 Password 필요 없이 탭 하나만으로 로그인하실 수 있습니다. 창이 뜨시면 가운데에 있는 와이파이 모양의 버튼을 눌러주시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됩니다.
직접 사용해본 후기
저는 인천에 있는 8번 버스와 8A버스를 타면서 이용해봤습니다. 속도는 그럭저럭 쓸만은 하지만 지하철에 있는 와이파이보다는 못한것 같습니다. 그러나 원할하게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였고, 웹서핑과 SNS등을 즐겼습니다. 주관적인 생각과, 한정된 버스이므로 정보를 너무 믿지는 마시고, 그렇구나 정도로 해석해 주세요.
오늘은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버스 공공 와이파이(Wi-Fi)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한번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